'김화영'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9.03.16 페스트
  2. 2019.02.03 이방인

페스트

2019. 3. 16. 11:42

#페스트
#알베르카뮈
#김화영
#민음사

페스트를 읽는 내내 전쟁을 빗댄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는데, 작품해설 보니 페스트 집필 당시 전쟁 중이었고, 작가 거주하던 곳이 일시적으로 폐쇄 당해서 사랑하는 부인을 2년동안 만날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함.
소설 속에서 페스트가 퍼진 도시는 폐쇄 당함.
시 안에 갖힌 사람들이 뜻하지 않는 이별을 겪으며 느끼는 심리상태가 잘 서술되어 있는데, 아무래도 작가가 직접 겪었기 때문인 듯.
페스트가 맹위를 떨칠 무렵 시민들은 계속되는 죽음에 감정이 매말라가고 그런 비정상이 일상이 되가는 모습을 생생히 묘사하고 있는데, 빅터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가 떠올랐음.
소설 인물 중 서술자인 리유는 의사이지만, 페스트에 대해 아무것도 모름.
그렇지만 자신의 맡은바 소임을 성실하게 이행하고 있음.
우리가 전문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사실은 우리와 별반 다를 것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음.
페스트를 이용해 설교를 하던 신부도 결국은 페스트에 의해 죽게 됨. 신부도 결국 일반인과 다를 것없는 무지한 사람이었음.
종교는 이런 시국을 이용한다는 구절도 와 닿았음.
이 소설에서 주로 등장하는 4명이 결국 한명에서 분화한 느낌이 들었는데, 작품해설에 그 비슷한 설명이 나와서 재밌었음.

p73의사들은 서로 의견을 주고받았다. 마침내 리샤르가 말했다. "그러므로 우리는 마치 그 병이 페스트인 것처럼 대응하는 책임을 져야 합니다." 그 표현은 열렬한 동의를 얻었다.

p159 '그렇다. 성스러움이라는 것이 온갖 습관의 총체를 의미하는 것이라면 말이다.'

p172
"네." 타루가 끄덕거렸다. "이해가 갑니다. 그러나 선생님이 말하는 승리는 언제나 일시적인 것입니다. 그뿐이죠."
리유의 얼굴이 어두워졌다.
"언제나 그렇죠. 나도 알고 있어요. 그러나 그것이 싸움을 멈추어야할 이유는 못됩니다."
"물론 이유는 못 되겠지요. 그러나 그렇다면 이 페스트가 선생님에게는 어떠한 존재일지 상상이 갑니다."
"알아요." 리유가 말했다. "끝없는 패배지요."
중략
"그 모든 것을 누가 가르쳐 드렸나요. 선생님?"
대답이 즉각적으로 나왔다.
"가난입니다."

가난이 리유를 계속된 패배에 맞설수 있는 가르침을 준 것 같아서


p173 "나는 아무것도 모릅니다. 정말이지. 그런데 당신은 대체 무엇을 알고 계신지요?"

모든 것을 알고 있을 것 같은 권위를 가진 사람이라도 정확이 모를 수 있다.

p216  즉, 이 모든 일은 영웅주의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그것은 단지 성실성의 문제입니다. 아마 비웃음을 자아낼 만한 생각일지도 모르나, 페스트와 싸우는 유일한 방법은 성실성입니다."

p237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그들은 감정의 메마름 때문에 괴로워했다고 말하는 편이 더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p238 불행은 바로 그 점에 있는 것이며, 또 절망에 습관이 들어 버린다는 것은 절망 그 자체보다 더 나쁜 것이라고 할 수 있었다.

p239 왜냐하면 모든 생이별당한 사람들이 그러한 상태에 이르렀던 것은 사실이지만, 모두가 같은 시각에 거기에 도달했던 것은 아니고, 또한 일단 그 새로운 심리 상태 속에 자리를 잡았다가도 섬광과 같은 명징함이나 미련이나 급격한 각성 등으로 말미암아 사람들이 더 싱싱하고 더 고통스러운 감수성을 되찾기도 했다는 것을 덧붙여 두어야겠다.

p251 그러나 그는 살려 주기 위해서 거기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격리를 명령하기 위해서 거기에 있었던 것이다.

p253 그들은 결국 요행에 운명을 걸고 있었던 셈인데, 요행이란 누구도 바랄 수 없는 것이다.

p270 소독기에서 흡수성 가제로 만든 마스크 두 개를 꺼내서, 랑베르에게 그 중 하나를 내밀며 쓰라고 말했다. 신문기자는 그것이 무엇엔가 쓸모가 있느냐고 물었다. 타루는, 아무 쓸모도 없지만 다른 사람들에게 믿음직한 느낌을 주는 것이라고 대답했다.

p291 그래도 모든 일에는 언제나 취할 점이 있다는 사실은 변함없는 진실이다. 가장 잔인한 시련조차도 기독교인에게는 역시 이득이 되는 법이다.

p292 그 어린애를 기다리는 영생의 환희가 능히 그 고통을 보상해 줄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 그로서는 쉬운 일이겠으나, 실상은 그 점에 대해서 자기는 전혀 아는 바 없다는 것이었다.
:

이방인

2019. 2. 3. 10:50

#이방인
#알베르카뮈
#김화영
#민음사

쭉쭉 읽다가 갑자기 끝남.
뭐지? 어리둥절 했음.
처음 주인공 뫼르소의 심리상태가 나와 좀 닮았다 생각하면서 읽음.
그런데 뒤로 갈 수록 아랍인을 죽이고 전혀 죄책감을 느끼지 않고, 소설 내에서도 피해자에 대한 애도나 동정을 느낄 수 없음.(하긴 형사제판에서의 초점이 피고인의 범죄 사실에만 맞춰 있긴 하지)
다만 주인공의 삶을 관통하는 이방인 스러움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다 읽고 나서 생각해보니
그는 자신의 삶에서 한발짝 물러서 있는 인상을 줬음.
자신의 어머니 장례식도 미적지근한 감정으로 참여하고, 여자친구의 청혼에도 사랑하지 않지만 승낙하고, 아랍인을 쐈을 때도 별 감정없이 해치우고, 특히 이방인성이 두드러지는 부분은 재판정에서 인듯.
자신의 재판이지만 제 삼자로 물러나서 진행됨.
해설을 읽으니 그는 너무나 솔직하기 때문에 이방인이라고 함.
좀 유연하게 상황에 맞는 거짓말을 할 수도 있었을 텐데 별로 할말이 없으므로 하지 않는 자기변호에 소홀한 모습을 보임.

작가가 사형(기요틴) 폐지의 선봉에 선 사람이라고 하는데, 아마 이 소설은 사법제도의 불합리성을 꼬집고 부각시키기 위함이 아닐까?

좀 이상했던 점은
백인인 주인공이 아랍인을 죽였는데도 사형선고를 받은 점이랑 (당시 아랍인은 식민지 시민이었다)
사건과 전혀 연관이 없이 보이는 주인공 모친 장례식과 연결해서 재판이 진행된 점이 이상함.

p161 따지고 보면 인간 세계에서는 정의(재판) 그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여겨집니다. 왜냐하면 그 저으이는 필연적으로 그러한 외관들만을 보고서 판단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 정의는 따라서 어쩔 수 없이 거짓되고 억지이며 왜곡된 것입니다.

p161 사방에서 꼬리표를 달려고 덤벼들고 천편일률적인 공식 속에 집어넣으려고 하고 관습에 따라 단죄하려고 합니다. 그렇습니다. 삶은 어떤 기나긴 재판입니다.

p162 그가 파멸하게 되는 것은 웅변적인 수사를, 어떤 유의 언어상의 낭만주의를 거부했기 때문입니다.

p178 이리하여 새로운 소설 [이방인]은 중성적인 톤, 문장과 문장 사이에 가로놓인 "침묵", 심리 분석이나 설명을 피하고 오직 겉으로 보이는 구체적인 대상들만을 묘사하고 지시하는 고집스러운 태도, 일견 순진해 보이는 구어체의 단순과거 등을 통하여 "겉보기에 아무 의식이 없는 한 인간" 특유의 무심한 모습을 가장 적게 말하면서 암시적으로 그려 보이는 쪽으로 방향을 잡는다.

p206 이 죽음은 소설의 1부와 2부 사이의 대칭 관계를 드러내는 하나의 지표라는 점에서는 다른 두 가지 죽음과 동일한 기능을 하지만 그것이 가지는 의미는 다른 두 죽음과 다르다. 우리는 재판 과정이나 감옥에 갇힌 뫼르소의 의식 속에서 살해당한 아랍인이나 그의 가족들은 거의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소설의 전 공간을 굽어보는 듯한 화자의 시야 속에서 이 아랍인은 충분한 인격체로 형상화 되지 못하고 있다.
중략
왜 뫼르소의 행동이 그 가해행위에 대한 정당방위였다고 충분히 항변하지 않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당시 알제는 프랑스 식민지였다. 이런 상황에서 "타자"인 아랍인을 '우연히' 살해하게 된 백인 뫼르소에 대하여 사형이라는 가혹한 형벌을 내린 것도 당시의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이해하기 어렵다.
:

BLOG main image
by 팜츄리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02)
시아준수 (52)
상품리뷰 (101)
책리뷰 (271)
민사,신청서류 양식 (3)
기타 뻘글 (23)
음식점 리뷰 (53)
대충레시피 (38)
드라마리뷰 (53)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