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움을 위하여

2019. 3. 29. 16:26

#그리움을위하여
#박완서소설
#문학동네

박완서작가는 시대의 증인이 되고 싶은 욕구로 글을 쓴다고 했는데, 그래서 그런지 소설이 전부 그 세대들이면 공감할 만한 내용이었음.
소설적 진실과 체험적 진실의 경계가 사라지는 경험을 한다더니, 나도 이 책을 읽고 그런 체험을 한 것 같음.
할머니들이 모여 앉아 기막힌 이야기 들어볼래? 로 시작해서 돌아가며 끝없이 이어지는 이야기자리에 나도 함께한 것 같은 기분.
이제 그 세대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은 이해력의 확장을 느낀듯 만듯 그런 소설.

p6. 촌천살인도 살인이잖니?

p43 상전의식이란 충복을 갈망하게 돼 있다. 예전부터 상전들의 심보란, 종에게 아무리 최고의 인간 대접을 한다고 해도 일단 자신의 거룩한 혈통이 위태로워졌을 때면 종이 기꺼이 제 새끼하고 바꿔치기해주길 바라는 잔인무도한 것이 아니던가.

p77 우리는 그때 플라토닉의 맹목적 신도였다. 우리가 신봉한 플라토닉은 실은 임신의 공포일 따름인 것을.

p79 나는 마지못해 자리를 떴다. 쌍쌍이 붙어 앉아 서로를 진하게 애무하고 있는 젊은이들에게 늙은이 하나가 들어가든 나가든 아랑곳 없으련만 나는 마치 그들이 그 옛날의 내 외설스러운 순결주의를  비웃기라도 하는 것처럼 뒤꼭지가 머쓱했다.

p82 유럽어의 철자법으로는 전혀 별 개의 카타리나인지도 모르지만 조수미의 목소리로 그 노래를 듣고 있으면 카타리나는 이국땅의 이름도 14세기의 성녀 이름도 아닌 그 여자가 경험해보지 못한 삶의 몽롱한 비밀이 스며 있는 이름이 되었다.

p118 흔해빠진 것과의 긴장감을 게속해서 유지하기 위해서도 언니들은 있어야 했다. 아무리 없는 것 없이 살면 무엇하나. 그걸 보고 대견해하거나 샘을 낼 부모 형제가 없는데.
:

#부모의말이바뀌면자녀의인생이바뀐다
#아나운서원기범
#바이펍

성경에 대한 이야긴줄 알았음.
성경구절을 많이 인용했음.
배움이 됐던 몇가지를 적자면,
여자와 남자의 가장 크게 대별되는 특징이 여자는 관계를 확인하는 대화를 하고 남자는 상하를 확인하는 대화를 한다는 점.
여자의 대화가 대부분 침목 목적인데 반해 남자의 대화는 상하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대화라는 것.
그래서 아내는 동등한 입장에서 한 말도 남편은 자기를 아래에 두려고 한다고 생각해서 방어적으로 나온다고 함.
그래서 여자는 공감해 달라고 한 말에 남자는 해결책을 제시하게 된다고 함.
대화가 산으로 가지 않게 하려면, 이런부분을 잘 캐치해야 겠음.
그리고 또 한가지는
메타언어를 직접 말로 하라고 함.
예를 들어 "넌 왜 이렇게 맨날 늦게 일어나니? 이게 다 사랑해서 하는 소리야. 남이 이런말 해주디?" 라고 말할 때 학교에 늦을까봐 걱정되서 하는 소린데 잔소리로 들릴 수 있고, 아이들이 엄마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게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
그럴때는 원래 그 말을 했던 목적을 직접 말로 하면 된다고함.
늦게 일어나서 학교에 늦을까봐 걱정 돼.
이것도 연습 많이해야 잘할 수 있을 것 같음.
마지막 또 하나는 웃어른도 칭찬해 줘야 한다는 점.
웃어른을 칭찬할 때는 평가하는 말을 쓰면 역효과라고함.
예를 들면 "이런 귀한 말씀 해주셔서 저를 돌아보게 됐습니다." 라는 식으로 상대를 높이면서 칭찬하면 좋다고 함.
:
◀ PREV | 1 |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 301 | NEXT ▶

BLOG main image
by 팜츄리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02)
시아준수 (52)
상품리뷰 (101)
책리뷰 (271)
민사,신청서류 양식 (3)
기타 뻘글 (23)
음식점 리뷰 (53)
대충레시피 (38)
드라마리뷰 (53)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