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역사

2018. 12. 24. 20:00

#역사의역사
#유시민
#돌베개

역사의 역사는 인간과 사회의 과거에 대해 문자 텍스트로 서술하는 내용과 방법이 변화해 온 과정에 대한 이야기다.
고대부터 역사를 썼던 저자들을 통해, 역사 서술의 방식이 어떻게 달라져 왔는지 이야기 해주는 책.
머릿말에 저자는 자신의 역사에 대한 생각을 내비치고 있는데  서사가 있는 역사가 생명력이 길다고함.
"나는 역사가 문학이라거나 문학이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훌륭한 역사는 문학이 될 수 있으며 위대한 역사는 문학일 수밖에 없다고 믿는다."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로 시작해서 유발하라리로 끝맺는 이 책은 사실을 있는 그대로 엮는 것만이 역사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음.
역사가가 아무리 사실만 엮는다 해도 그 역사가에게 도달한 사실이 진실일까?
이 책을 읽고 제일 놀라웠던 사실은 [총.균.쇠]를 쓴 다이아몬드와 [사피엔스]를 쓴 유발하라리에 와서 역사를 쓰는 시각이 어떤 민족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인류사로 확장되었다는 지적이었다.
사피엔스를 읽고도 전혀 눈치채지 못했었다.
그것이 일종의 역사서 였다니.
인류는 이제 한 덩어리로 흐름을 같이 하고 있다는 것을 누구나 수긍하는 구나.
이렇게 시각이 확장된 데에는 과학기술의 발전이 주요했다고 함.

p108 이슬람과 폭력의 연결 고리는 교리 자체가 아니라 종교와 권력의 결합에 있다.

p136 과거를 '있었던 그대로' 보여준다니, 얼마나 매력적인가? 그런데 이것이 과연 '과거를 평가'하거나 '미래를 대비'하는 것보다 덜 고매하거나 더 소박한 목표일까? 그렇지 않다. 오히려 훨씬 더 이루기 어려운 목표다. 어려운 정도가 아니라 실현 불가능하며, 설사 가능하다고 해도 의미가 없다. 그런데 왜 랑케는 이런 말을 했으며, 왜 이 말은 그토록 많은 추종자를 얻었을까? 무지와 정치적 유용성 때문이었다.

p219 [역사], [펠레폰네소스정쟁사], [사기]와 같은 역사서는 2,000년 넘는 세월을 살아 남았다. 그와 달리 역사 연구서, 역사 이론서, 역사 비평서는 생명이 그렇게 길지 않다. 학문적으로 아무리 훌륭해도 세월이 많이 흐르면 전문 연구자들 외에는 그 존재를 잘 알아 주지 않는다. 사람들이 시와 소설, 희곡은 수백 년 세월이 흘러도 변함없이 사랑해 주면서도 문학평론이나 문예비평서는 그리 오래 기억해 주지 않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 역사학 연구서가 가치 없어서 그런 것이 아니다. 서사의 힘을 지니지 못한 책은 어느 장르든 오래가지 못한다.

p318 나는 역사를 역사답게 하는 것이 '서사의 힘' 또는 '이야기의 매력'이라고 생각한다. 역사는 사람과 세상에 대한 이야기다. 사람의 꿈과 욕망, 사람의 의지와 분투, 사람의 관계와 부딪침, 사람이 개인이나 집단으로 겪은 비극과 이룩한 성취, 사람이 세운 권력의 광휘와 어둠, 사람이 만든 문명의 흥망과 충돌과 융합에 관한 이야기다. 변하지 않는 인간의 욕망과 본성, 예측할 수 없는 우연, 사회 제도와 자연환경이 뒤엉겨 빚어낸 과거의 사건들 가운데 당대의 역사가들이 주목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것을 언어로 엮어 낸 서사다.
:

2011년 출간된 책인데 다시 개정하여 출판한 책

유시민씨가 시민들에게 국가란 무엇인가 알려주기위해 여러 철학자, 사상가, 정치가의 이론을 인용하여 그리고 현실의(여러나라) 정치 상황을 인용하여 친절하게 그리고 강압적이지 않은 문체로 그리고 누구하나 나쁜놈이라고 몰아 세우지 않는 특유의 자상한 문체로 쓴 책

가볍게 집어들었다 거볍게 읽을 수 없었던 책

국가가 폭력을 휘두를 수 있다는 점을 인정 하더라도 국가는 필요한데
어떤 형태의 국가여야 하느냐를 책 전반에 걸쳐 서술했고
결국 잘못되면 계속 수정해 나갈 수 있는 자유민주주의 체제가 낫겠고
그러려면 정치인은 어때야하고 정당들은 어떠해야하고 시민의 역할은 어떠해야한다는 그런 내용

진보가 분열이 잘 되는 점이 재밌었음

유시민씨가 말하는 훌륭한 시민에 대해 옮겨 적어 봄

어떤 훌륭한 지도자가 나타나서 정의를 실현할 능력 있는 국가를 만들어주기를 기대하는것은 헛된일이다.
아무리 뛰어난 개인도 혼자 힘으로 훌륭한 국가를 만들지는 못한다.
훌륭한 국가를 만드는 것은 주권자인 시민들이다.
자신이 민주공화국 주권자라는 사실에 대해서대통령이 된것과 똑같은 무게의 자부심을 느끼는 시민, 주권자로서 마땅히 누려야할 권리가 무엇이며 어떤 의무를 수행해야 하는지 잘 아는 시민,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설계하고 책임지면서 공동체의 선을 이루기 위해 타인과 연대하고 행동할줄 아는 시민이다.
:

청춘의 독서 유시민

2017. 8. 12. 01:46

유시민씨가 살아오면서 영향받은 고전을 다시 읽기하면서 그 느낌과
각각의 책에서 크게 접점을 느꼈던 부분과 영향받았던 이야기 그리고 각 책의 저자 양력 및 책이 말하고자 한 바를 엮는 책
본인도 후기에사 밝혔듯, 위대한 고전에 대한 균형있는  서평이 아니며, 이 고전들의 어떤 특정한 측면에 대해서만 이야기했다고함. 그렇기 때문에 독자들은 이 책에 다룬 고전들에 대해 작가가 서평한 바로 그런 책이라고 단정하지 말길 당부했다.

나도 그렇게 느꼈는데 후기에 명백하게 써 놓으니 뭔가 후련한 느낌. 후기부터 읽어 볼걸 그랬나.

나는 토마스멜서스 -인구론과 최인훈- 광장,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이반데니소치의 하루, 찰스 다윈 -종의기원, 헨리조지 -진보와 빈곤, 하인리히 뵐 -카타리나 볼룸의 잃어버린 명예, E.H카 -역사란 무엇인가 에 대한 저자의 서평이 흥미로웠다.
그렇다고 저 책들을 모두 읽어 보고 싶은 마음은 들지 안음
저자님이 해석한대로 받아들일 뿐

저자의 소설에 대한 해석이 정말 무릎을 탁 치게함
난 물론 지적 깊이와 배경지식의 비루함 떄문이기도 하겠지만 소설은 그냥 지어낸 이야기로 치부하고 작가가 폭로하고자하는 진실 따위 생각도 안해봤는데
:

BLOG main image
by 팜츄리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02)
시아준수 (52)
상품리뷰 (101)
책리뷰 (271)
민사,신청서류 양식 (3)
기타 뻘글 (23)
음식점 리뷰 (53)
대충레시피 (38)
드라마리뷰 (53)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otal :
Today : Yesterday :